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Lexile 지수와 영어실력 관계, 수준에 맞는 영어원서 찾기

by 에듀몬티스 2023. 1. 24.
300x250

Lexile이란 무엇인가?

Lexile 지수는 메타메트릭스(MetaMetrics)사에서 개발한 독자의 읽기 능력과 텍스트 복잡성을 측정하는 체제이다.
미국 50개 주의 K-12학년(유치부~고3) 학생 절반 이상이 매년 Lexile 측정 후 해당 지수를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180개국에서 학생들의 읽기 능력 측정을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수는 3,500만 명이 넘는다. Lexile 측정의 목적은 학생의 읽기 능력과 성장 지수를 측정하여 학습의 개인화에 초첨을 두어 초중고 학교 및 대학교, 직장에서 성공적으로 개인의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돕는 데에 있다.

Lexile지수를 사용하고 있는 미국 인구 수 및 나라 수
출처) Lexile 공식 홈페이지

Lexile은 '독자의 읽기 능력지수''텍스트의 수준' 두 가지를 측정한다.

Lexile은 Lexile Reading Measure (독자의 읽기 능력 지수)Lexile Text Measure (텍스트의 수준)을 함께 사용하여 읽기 기술을 가속화시키고 연령에 적합한 자료를 찾는 데 사용된다. 현재 1억 권 이상의 도서와 기사 및 웹사이트가 Lexile 텍스트 지수를 포함하고 있으며, 텍스트는 어휘 및 문장의 복잡성과 같은 요소를 기반으로 Lexile 텍스트를 측정받는다.

학생들은 영어 또는 읽기 평가에서 Lexile®을 측정받는데, 미국 주(State)에서 시행하는 테스트나 미국 공립 및 사립, 그리고 국내 국제학교에서 대부분 실시하고 있는 NWEA사의 MAP Growth 같은 표준화된 테스트를 응시한 후 해당 Report에서 개인 Lexile 지수를 확인할 수 있다. 1학년에서 12학년 (초1~고3) 범위는 미국 공통 교육과정인 Common Core State Standards(CCSS) English, Language Arts 교과, NGA 및 CCSSO를 기반으로 텍스트 복잡성(Complexity) 등급 범위를 기반으로 측정하게 된다.

 

Lexile 범위는 보통 BR400L-2000L 사이로 측정된다.

Lexile 독서 측정 범위는 초기(초급) 학습자의 경우 0L 미만에서 고급 독자의 경우 2000L 이상까지 측정이 된다. Lexile은 숫자 5 단위로 측정이 되며, '750L'과 같이 뒤에 L이 붙는다.
0L 미만의 점수를 받은 학습자는 Beginning Reader (BR)로 표기되는데, 주의해야 할 것은 BR 코드 뒤의 숫자가 낮을수록 고급 리더 또는 텍스트이며 숫자가 높을수록 텍스트가 덜 복잡하거나 학습자의 숙련도가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BR40과 BR10를 비교하자면 BR10이 더 레벨이 높은 텍스트 또는 학습자인 것이다.

 

Lexile 지수와 학년 레벨 비교

K레벨 (유치원)의 텍스트 복잡성 범위는 BR400L에서 230L의 범위에 있으며, 메타메트릭스(MetaMetrics) 사의 수년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이 대학 수준의 읽기를 준비하는 데 도달할 수 있는 이상적인 Lexile지수는 1300L라고 한다.

아래는 MetaMetrics사에서 발표한 K-12학년 초기와 학년 말에 얻게 되는 Lexile 지수이다. 이는 미국(원어민) 학년에 기반하여 설계된 것으로 EFL 혹은 ESL 학습자의 경우 수치가 조금 더 낮을 수 있다.

학년별 Lexile 지수

 

렉사일 코드 7가지 바로 알기

BR (Beginning Reader): 렉사일 리더 측정값이 0L 미만인 독자에게 적합한 도서로 보통 영유아 혹은 1학년 학생들이 볼 수 있는 책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BR____L에서 BR뒤의 숫자가 낮을수록 고급 독자이다.

 

AD (Adult Directed): 어린이가 혼자 읽는 것이 아니라 성인(학부모) 또는 고급독자가 큰 소리로 읽으며 지도해주는 도서이다. 그림책 (Picture Book)으로도 알려져 있다. 또한, 글꼴, 크기, 서체, 페이지 레이아웃, 가독성 등으로 인해 AD로 분류될 수도 있다.

Naurice Sendak의 Where the Wild Things Are (AD740L)는 자간이 가깝고 문장이 길어 어린 아이들이 혼자 읽기에는 힘들지만 미취학 아동들에게는 완벽한 콘텐츠이므로 AD코드를 받은 740L 수준의 도서이다.

 

NC (Npn-Conforming): 영어 읽기능력 수준이 높은 저학년 학생의 연령에 적합한 도서이다.

예를 들어, Seymour Simon의 Amazing Aircraft (Seastar Books)가 (Lexile NC900L) 이에 해당하는데, 렉사일 지수처럼 어휘 등의 글 난이도는 어려우나 내용적인 면을 고려하여 초등 1-3학년 독자들에게 추천하는 도서이다.

 

HL (High-Low): 자신의 연령대 수준보다 글이 덜 복잡하고 난이가 낮지만 콘텐츠 소재 수준은 높은 도서로 읽기 능력 수준이 낮은 고학년이 읽기 적합한 책이다. HL에서 H(high)와 L(Low)는 관심도는 높고 가독성은 낮다는 의미의 코드이다. 

Beth Goobie의 Sticks and Stone는 HL430L의 도서이다. 지수만 보면 초등 2학년 수준이지만 , 책의 내용은 고등학생이 겪는 연애와 가십등을 담고 있어 HL도서에 해당한다.

 

IG (Illustrated Guided): 참고용으로 활용되는 논픽션 자료로 책의 내용이 스토리 구조를 띄지 않는 백과사전이나 전문용어, 발음 가이드 등이 이에 해당한다. 

 

GN (Graphic Novel): 한국에서도 흔히 그래픽노블이라고 불리어지며, 삽화(그림)가 포함되어 있고 글이 말풍선 안에 쓰인 책이다. 해당 도서는 다른 장르보다 대화를 더 많이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 해당 도서 렉사일 지수에는 삽화 지원이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까지는 반영하지 않는다고 한다. 다른 도서들과 마찬가지로 글의 복잡성만 반영한다는 의미이다.

 

NP (Non-prose): 구두점 등이 없는 시, 희곡, 노래, 요리법 등의 텍스트의 형태를 띤 도서이다. 이러한 도서들은 산문체가 아니므로 렉사일 텍스트 코드를 받지 못한다. 따라서, 숫자 없이 NP 도서로 구분된다.

 

 

 

 

Lexile지수는 영어의 전반적인 실력이 아닌 읽기 능력 수준을 말한다.

많은 학부모들이 착각하는 것이 있다. Lexile 지수가 높을수록 영어 실력이 높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Lexile은 순순히 텍스트의 복잡성과 어휘를 기반으로 측정하여 미국 학생들의 읽기 능력미국 교과 과정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도구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학생들이 Lexile 지수가 높게 나왔다 하더라도 말하기(회화 및 의사소통 능력), 듣기, 쓰기, 어법 등의 다른 기능의 실력을 해당 수준이라고 생각해서는 안된다는 의미이다. 또한, 텍스트의 주제와 배경지식 관련 난이도에 대한 측정이 아닌 관계로, 문장의 복잡성과 어휘가 쉽게 쓰여 낮은 렉사일 지수를 갖은 도서이지만 위의 해당 표에서 보이는 학년보다 더 높은 학년에게 추천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미국 학교에서의 추천 학년을 꼭 확인하도록 하자. 본 포스팅 맨 아래에 4-8학년까지의 원서 추천리스트 링크를 두었으니 참고해도 좋다.

 

아이 실력의 스위트스폿(Sweet Spot) 범위 안의 도서를 읽혀라.

우리 아이에게 적절한 Lexile 도서 찾기 위해서는 학생의 읽기 능력 지수, 즉 Lexile 지수를 확인하는 것이 먼저이다. 아이의 능력 수준을 확인했다면, 개인 읽기 능력 지수보다 100L 낮거나 50L 높은 수준의 도서가 가장 적절하며, 이를 독해 스위트스폿 (Reading Comprehension Sweet Spot)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학생의 Lexile 지수가 1240L라면, 1140L~1290L 사이의 도서를 선택하여 읽는 것을 가장 효과적인 리딩 학습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Lexile 지수 올바른 Sweet Spot의 예시 설명 사진
출처) Lexile 공식 홈페이지

 

렉사일 도서 찾기 링크

특정 도서 및 텍스트가 학생의 Lexile 범위 내에 있는지 알고 싶다면 Lexile® 도서 찾기 검색링크 (https://hub.lexile.com/find-a-book/search)를 통해 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찾고자 하는 도서의 Lexile 도서 지수를 책의 저자, 제목 또는 ISBN 번호를 알고 있으면 된다. 많은 도서들이 (특히 문학 원서) 같은 저자 같은 제목으로 다양한 리딩 수준의 형태로 출판되어 있기 때문에 ISBN번호를 알고 있는 것이 지수를 확인하는 데에는 가장 정확하다.

 

 

아이의 렉사일 지수를 알고 싶다면 아래 링크에서 렉사일 지수 테스트 보는 것을 추천한다.

https://lexiletest.kr/exam.php

 

Lexile Test - 렉사일 읽기능력 지수 테스트

MetaMetrics, Achieve3000이 공동개발한 논픽션 기반 렉사일 읽기능력 지수 테스트. 이제 한국에서 무료로 테스트하세요!

lexiletest.kr

 

초중등부의 원서를 찾고 있다면, 아래 Lexile과 AR 지수 등을 상세히 적어 놓은 원서 추천 포스트를 참고 바란다.
겨울 방학 우리 아이 영어 실력 향상, 초등 영어 원서 추천 - Grade 4 (feat. Lexile 지수, AR 지수)

 

겨울 방학 우리 아이 영어 실력 향상, 초등 영어 원서 추천 - Grade 4 (feat. Lexile 지수, AR 지수)

겨울방학이 다가오고 있다. 방학이야 말로 부족한 영어 실력을 보강할 수 있는 절호의 시기이다. 학원이나 교육 기관에서 하는 방학 특강이나 영어 겨울 캠프 등에 보낼 수도 있겠지만, 집에서

www.edumontis.com

초등 영어 원서 추천 - Grade 5 (feat. Lexile 지수, AR 지수)

 

초등 영어 원서 추천 - Grade 5 (feat. Lexile 지수, AR 지수)

Grade 4 (미국 초등 4학년) 추천 도서 리스트에 이어 미국 초등 5학년 도서를 추천한다. Lexile 지수와 AR 지수는 단순히 어휘와 글 자체의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로서 지수가 높거나 낮은 도서일지라

www.edumontis.com

중등영어 리딩 원서 추천 - Grade 6 (미국 중등부 필독서)

 

중등영어 리딩 원서 추천 - Grade 6 (미국 중등부 필독서)

11-12세 학생들이 (미국 나이 기준) 읽어야 할 도서들을 추천한다. 미국 중학교뿐만 아니라 국내의 외국인학교/국제학교 Summer Reading 도서 리스트에도 많이 오르는 도서들이다. 6학년 시기에 읽어

www.edumontis.com

겨울방학 영어학습, 중등영어 리딩 원서 추천 - Grade 7 (미국 중등부 필독서) 중2

 

겨울방학 영어학습, 중등영어 리딩 원서 추천 - Grade 7 (미국 중등부 필독서) 중2

중등 영어 원서 추천 12-13세의 학생들이 읽기에 적합한 원서를 추천한다. 12-13세는 미국 학년 기준 7학년이며, 7학년 학생들이 학교 ELA (English Language Arts) 수업에서 배우는 도서가 포함되어 있다. G

www.edumontis.com

겨울방학 영어 학습, 중3 영어 원서 필독서 (미국 중등부 Grade 8)

 

겨울방학 영어 학습, 중3 영어 원서 필독서 (미국 중등부 Grade 8)

중등부 영어 원서 필독서 (Grade 8) 미국 학년 기준 Grade 8은 중등부 마지막 학년으로, 고등부 수업을 따라갈 수 있도록 학업적으로 준비를 요하는 가장 중요한 학년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나 고등

www.edumontis.com

 

 

- 위의 글에 대한 저작권은 에듀몬티스에게 있으며 불법 복제 및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

책을 읽고 있는 인형
Reading

320x100
300x25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