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우리 아이 영어 토론, 홈스쿨링으로 가능할까? 토론 학습 바로 알기

by 에듀몬티스 2022. 12. 13.
300x250

영어는 세계의 공통 언어로서, 글로벌 모든 분야에서의 연구와 개발, 그리고 혁신을 위한 의사소통의 도구로 인식되어야만 한다. 의사소통 도구로서의 영어는 문제풀이를 통한 언어 학습과 평가를 뛰어넘어 학습자들의 사고력과 창의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토론 학습이 대세이다. 가정에서 토론 수업을 시도하는 영어 스피킹이 가능한 학부모들은 영어 토론 교재를 구입하기 위해 인터넷 검색을 시작한다. 하지만, 몇 가지의 중요한 팁들만 기억한다면 가정에서도 교재 없이 토론 홈스쿨링이 가능하다.

교사와 학생들이 토론을 하는 사진
교사와 학생들이 토론을 하고있다.

토론, 이것만은 기억하자.

 

1. 우리의 삶 자체가 토론의 주제이다.

토론: 어떤 문제에 대하여 여러 사람이 각각 의견을 말하며 논의함.

토론은 한 주제 (문제)를 정하여 이에 대한 찬성과 반대 혹은 해결 방법 등 의견을 공유하는 행위이다. 주제를 정하는 것은 너무나도 쉽다. 우리에게 닥친 문제점들,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 취향 등 모든 것이 주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토론을 막 시작하는 학생의 경우, 본인의 좋아하는 과목, 취미, 스포츠, 친구 등 일상생활을 주제로 토론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자녀가 같은 요일에 피아노 학원과 태권도 학원을 가야 한다면, 피아노 학원과 태권도 학원 중 어느 것이 더 좋은지, 어느 수업이 본인에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를 물어보며 토론을 하며 아이의 생각을 이해할 수 있다. 간식으로 피자와 치킨 중 골라야 한다면, 어느 것이 더 좋은지를 물어는 것 또한 토론 주제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2. 질문의 범위를 좁혀라.

아이디어와 질문을 생각하는 캐릭터들
Questions and Ideas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학원에서 토론 수업 중 선생님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은, "What do you think?"이다. "너는 어떻게 생각하니?"라는 질문을 처음부터 하게 되면 아이들이 대답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므로 주제의 핵심이 무엇인지를 헷갈리게 한다. 해당 질문 전에 보다 구체적인 질문을 먼저 던져 보자.

예를 들어, 학교 교복 폐지에 대한 주제라고 가정해보자. 아이에게 "학교 교복 폐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니?"라고 질문을 던지는 것보다, "네가 교복 폐지를 주장하는 학생 회장이라면 교장선생님에게 어떻게 교복 폐지를 설득할 수 있을까?" 혹은 "교복 폐지를 해야만 하는 이유 3가지를 생각해볼까?"처럼 입장 정리를 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가 학생 회장 입장에서 생각을 해 보았다면, 반대로 교장선생님의 입장에서 폐지 반대를 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정리하게 하여 각 두 위치에서 장점과 단점 등을 생각해 보게 하는 것이 토론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728x90

이러한 방법은 반대 입장의 주장을 고민해봄으로써, 상대방이 어떤 질문을 할지 예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주기 때문에, 질문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고 양질의 토론을 학생들이 이끌어갈 수 있다.

3. 자료 조사와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은 토론의 질을 높인다.

 

 

 

보다 적극적이고 자율적인 토론이 진행되기 위해 토론 전 조사 과정은 필수이다.
주제 관련된 자료를 인터넷과 서적 등을 통해 조사하고, 입장을 관찰할 수 있도록 연구 시간이 필요하다. 토론 수업을 잘 이끌어내는 교사는 토론 그 자체보다 토론을 위한 조사 과정에 상당히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가정에서도 토론에 임하기 전에 아이가 엄마와 토론을 하기 위해 자료를 찾고, 모으고, 정보를 정리하는 시간을 충분히 갖게 하자.

아이가 엄마와 방학 기간 동안에 수목원에 갈지, 수영장에 갈지를 토론해야 한다고 가정해보자. 사전 조사 단계 없이 "어디가 더 가고 싶니?"라고 묻는 것은 수박 겉핥기식의 토론이다. 수목원과 수영장 중 아이가 갈 곳을 선택해야 한다면 두 곳의 특징을 알아야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어느 곳이 더 좋은 곳인지 판단할 수 있고, 이런 과정을 통해 자기 결정 능력 또한 향상할 수 있다.

4. 엄마와 자녀 사이에도 토론 매너를 갖추자.

토론 능력은 말을 논리적으로 잘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고 상대방이 한 질문 혹은 반박을 무시하지 않고 성의 있게 대답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엄마와 토론을 할 때에도 아이와 엄마는 서로의 의견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 토론이 시작되었을 때는 서로 존칭을 사용하며 진행하는 것도 아이에게 토론 매너를 가르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다. 형제가 있는 집이라면 두 아이가 토론에 임할 때, 엄마는 사회자로서 아이들이 서로의 의견에 존중을 하며 토론을 진행할 수 있도록 중재자가 되어도 좋다.

5. 토론을 잘하는 아이는 독서량이 많다.

쌓여있는 책들
Books

위의 3번에서 설명했듯이 토론에서 아이가 자신감을 갖고 적극적으로 말을 하기 위해서는 의견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 정보와 지식이 있어야 한다. 결국 인풋 (Input)이 중요한 요소인데, 독서습관이 잘 잡혀있고 책을 많이 읽는 아이들은 어휘 수준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제에 배경지식이 많다. 또한, 글을 논리적으로 정리하고 표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독서는 토론의 토대가 되며 아이들에게 무한한 영감을 주는 스승이다.

아이가 어떤 책을 읽을지 모르겠다면, 미국교육과정 영어과 수업인 ELA (English Language Arts) 과목에 대비하여 읽어야 하는 원서 리스트를 학년 별로 정리해 놓았으니 AR과 렉사일 지수, 장르 등을 확인 한 후 독서를 시도해보면 좋겠다.

 

겨울 방학 우리 아이 영어 실력 향상, 초등 영어 원서 추천 - Grade 4 (feat. Lexile 지수, AR 지수)

 

겨울 방학 우리 아이 영어 실력 향상, 초등 영어 원서 추천 - Grade 4 (feat. Lexile 지수, AR 지수)

겨울방학이 다가오고 있다. 방학이야 말로 부족한 영어 실력을 보강할 수 있는 절호의 시기이다. 학원이나 교육 기관에서 하는 방학 특강이나 영어 겨울 캠프 등에 보낼 수도 있겠지만, 집에서

www.edumontis.com

 

 

 

- 위의 글에 대한 저작권은 에듀몬티스에게 있으며 불법 복제 및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

320x100
300x250

댓글